전국이 집값 상승으로 열을 올리고 있는 와중에, 지역별로는 세종특별자치시 아파트값이 가장 많이 상승한 것으로 알려졌다.
14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세종시 아파트값은 올해 들어서만 전년 동기대비 41.3% 올랐다. 12월 첫째주까지 누적 상승률이며, 전국적으로 40% 넘게 오른 곳은 세종시가 유일한것으로 확인되었다.
같은 기간 올해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은 전년 동기 대비 6.12% 오르며, 부동산원이 통계를 집계하기 시작한 2012년 5월 이후 8년 7개월 만에 가장 큰 상승폭을 기록했다. 제주를 제외한 전 지역 집값이 일제히 오른것으로 확인되었다. 전문가들은 계속되는 부동산 규제에 임대차 2법으로 전세난 까지 겹치며 전국 집값이 고공행진하는 가운데 더불어민주당이 국회 세종이전을 추진하면서 세종 지역의 집값이 눈에 띄게 오른것으로 분석하였다.
행정수도 이전은 지난 7월 김태년 민주당 원내대표가 국회 교섭단체 대표연설에서 행정수도 이전론을 꺼내며 뜨거운 감자로 떠올랐다. 행정수도 이전론은 세종시 부동산 시장의 매매는 물론 전세시장의 가격까지 상승시키는 결론을 만들어냈다. 지난달에는 이낙연 민주당 대표가 국회를 세종시로 완전히 이전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겠다고 밝히면서 추후 해당 지역의 가격상승여력이 아직 남아있는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실제로 세종시 한솔동 첫마을3단지 전용면적 149제곱미터는 이번달 1일 17억원에 거래되며 신고가를 달성하였다. 연초만 해도 9억원 선에서 거래되던 세종시 보람동 호려울마을 10단지 전용 109제곱미터는 4억원가량 올라 지난 10월 13억원에 손바뀜됐다.
세종시는 아파트 매매값 뿐만 아니라 전세가도 전국에서 가장 많이 오른것으로 보인다. 부동산원에 따르면 세종시 전셋값은 올해 들어서만 전년 대비 53.1% 올랐다. 세종시 집값이 오를 것으로 보고 추후 지역우선분양을 노린 수요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지난 6월 3억원에 거래되던 보람동 호려울마을 10단지 전용 109제곱미터 전세가는 11월 4억 5000만원으로 1.5배 가량 올랐다.
세종시의 집값 상승으로 인접한 대전까지 집값이 함께 오른것으로 보인다. 올해 대전 아파트 매매가는 세종 다음으로 가장 많이 올라 전년 동기 대비 16.6% 를 기록하였다.
이에 권대중 명지대 부동산학과 교수는 "세종시는 지역 수급에 따라 가격이 오른 것이 아니라, 정부가 개발 호재를 만들어 집값이 오른것으로 보인다"며 "이 같은 상승세는 개발 호재가 끝날 때까지, 다시 말해 국회 이전이 완료될 때까지 계속 될 것"으로 언급하였다. 이어 그는 "내년 1월 국회 이전 관련법이 통과될 것으로 전망 되는데 법안이 통과되면 세종시 집값은 더 크게 뛸 것"이라면서 "인구가 늘면 주택가격이 오르는데, 35만명의 세종시 인구는 50만명까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고 추가로 설명하였다.
다만 권 교수는 중요한 말을 이어 하였는데 "수도를 이전해 장기적으로 성공한 나라는 없다"고 경고하였다.
올해 서울 집값은 전년 동기 대비 0.72% 오른 데 그쳤고, 전셋값은 임대차2법 영향으로 치솟으며 전년 동기 대비 4.04% 올랐다고 하나, 이 수치에 대한 신뢰도 논란은 여전하다. 최근 통계청이 부동산원의 부동산 통계와 관련해 통계표본 수가 부족해 지값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하였으며, KB부동산 통계에 따르면 서울 집값은 올해 전년 동기 대비 12.3% 올라 부동산원 통계와는 10%포인트 이상 차이가 났다.
'부동산 issue'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0 아파트 브랜드 순위 (0) | 2020.12.15 |
---|---|
문 대통령이 칭찬한 공공임대주택 4집 중 1집 공실....why?? (0) | 2020.12.15 |
전세보단 매매? 전세 떠돌바엔 집 사고 보자! 11월 매수우위지수 상승! (0) | 2020.12.15 |
정부, 재건축,재개발조합 총회 온라인으로.. 규제 정비 (0) | 2020.12.14 |
용적률 높이고 층수 규제 풀면 서울 연 5만가구 공급 가능 (0) | 2020.12.14 |